티스토리 뷰
파동의 기초와 성질 완전 정리
목차
1) 들어가기
파동은 일상 속에서 자주 접하지만, 막상 “파동이 무엇인지” 물으면 헷갈리기 쉬워요. 잔잔한 호수에 돌을 던져 생기는 물결이나 소리, 빛 등이 모두 파동의 한 예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파동이 무엇인지, 어떤 특징을 가지고 있는지 쉽게 알아보겠습니다.
2) 본론
가. 파동의 기본 개념
파동은 간단히 말하면 진동이 공간을 통해 전달되는 현상입니다. 물체가 실제로 움직이지 않고도, 에너지가 주기적으로 퍼져 나가는 것이지요. 파동은 진폭, 주기, 진동수, 파장 같은 용어로 특징지을 수 있는데, 이들 개념만 잘 이해해도 파동을 꽤 잘 설명할 수 있어요.
나. 진동수와 파장의 관계
- 진동수(f): 1초에 몇 번 진동하는지, 단위는 Hz
- 주기(T): 한 번 진동하는 데 걸리는 시간, f와 역수 관계
- 파장(λ): 한 번의 진동 주기가 만들어낸 파의 길이
- 파동속도(v): 파장이 주기적으로 전파되는 속도, v = f × λ
다. 파동의 성질
반사: 파동이 경계면을 만나 튕겨 나오는 현상입니다. 고정단과 자유단 반사로 구분하기도 해요.
굴절: 매질이 달라질 때 파동 진행 방향이 꺾이는 현상으로, 빛이 유리와 공기 경계에서 꺾이는 것이 대표적 예시죠.
회절: 파동이 장애물을 만났을 때 그 뒤쪽으로 휘어지는 현상입니다.
간섭: 파동 두 개가 만나 서로 더해지거나(보강) 약해지는(상쇄) 특성입니다.
맥놀이: 진동수가 조금 다른 파동 둘이 겹쳐 만들어지는 진폭의 주기적 변화로, 음악에서 화음이나 음정 맞출 때 유용하게 쓰여요.
라. 파동 종류
- 진동 방향과 진행 방향이 수직: 횡파(Transverse wave)
- 진동 방향과 진행 방향이 나란함: 종파(Longitudinal wave)
- 매질이 필요한 파동(소리, 물결 등) vs 매질 없이도 전파(빛 등)
내용 정리 표
용어설명
진폭 | 파동의 중심선에서 마루(골)까지의 최대 거리 |
주기(T) | 1회 진동에 걸리는 시간, 진동수(f)의 역수 |
진동수(f) | 1초 동안 진동 횟수(Hz) |
파장(λ) | 마루-마루, 골-골 간 거리 |
파동속도(v) | v = f × λ |
3) 맺음말
파동은 우리 주변에서 늘 일어나는 자연 현상입니다. 소리, 빛, 물결처럼 서로 다른 형태를 지니지만, 기본적으로 진동이 퍼져 나간다는 공통된 원리가 있어요. 앞으로 파동을 접할 때, 그 성질과 개념을 떠올리면 훨씬 더 흥미롭게 바라볼 수 있을 것입니다.
- Total
- Today
- Yesterday
- #법원행정처
- 실시간검색어
- 공무원시험
- 오늘의이슈
- 영화소개
- #법무사자격요건
- #법무사시험과목
- 영화추천
- #법무사되는법
- #시험일정
- 박스오피스
- #공무원시험
- #법무사1차
- 옛날영화
- Movie
- #전문자격증
- 영화
- 영화순위
- 한국영화
- #법무사시험일정
- 오늘의사건
- #법무사시험준비
- 외국영화
- #법무사2차
- 실검
- 추천영화
- #경찰공무원
- 경력경쟁채용
- #수험정보
- #2025법무사시험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